JavaScript 변수
변수란 무엇인가?
변수란 데이터를 담는 그릇과 같다
값이 변할수 있다는 특징이있다
이 변수에는 객체,함수,배열 등등을 담아내는 기능을 한다.
변수를 선언 즉 어떠한 객체,함수,배열 등등에 이름을 지정해 사용하는 기능을가진 아이는
var, let 이있다.
여기서 우리는 let을 주로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한다. 이유는 var로 변수를 선언하면 재선언 즉 같은변수명으로 선언이가능한대 이때 처음선언한 값은 사라지는 현상과 호이스팅이라는 현상때문에 의도치않은 오류를 만들 수 있기때문이다.
재선언 예시
var x= 7
var x= 5
console.log(x)
위코드와 같이 x값을 콘솔창에서 결과확인시 처음선언한 7이 아니라 5가 나온다.
but 아직도 많은 프로그램이 let이 생기기전에 var로 만들어져 있기때문에 var라는것이 변수를 선언하는 기능을 가진아이라고 알아두긴 해야하지만
우리가 프로그램을 코딩할 땐 let을 쓰는것이 오류를 방지하기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let을 쓰는 습관을 들여야한다
호이스팅에 대한 개념은 추후에 설명해드릴깨요~
상수는 변수와 같이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고
이 상수에는 객체,함수,배열 등등을 담아내는 기능또한 같다
상수는 값이 변하지않는 특징이있다
상수 또한 선언 즉 어떠한 객체,함수,배열 등등에 이름을 지정하여 사용하는 기능을 가진 아이는
const 가 있다.
변수와 상수에 차이
변수는 값을 재할당 할 수 있다 즉 a=5 라고 코딩해놨는데 a = 7 이라고 다시 값을 설정해주는것이 재할당이라는 개념인데 let은 이게 가능하다
but const는 한번 값을 설정해주면 다른 값으로 고쳐 쓸수없다는 점에서 변수와 차이가있다
ex)
let a = 5
a = 7
const b = 5
b = 7
console.log(a)
console.log(b)
위 코드를 콘솔창에서 확인하면 애러가 날것이다 a =5라고 선언 했지만 재할당한 값인 7이 출력될것이고 b = 재할당 할 수 없기때문에 애러가난다
변수 상수 선언에 기본형식
let 또는 const 변수이름 = 값
ex)
let myFirst = "hello"
const mySecond = "world"
재선언 재할당 이란?
재선언 = 같은 변수이름을 가진 변수선언을 다시하는것
var name = "hello"
var name = "world
재할당 = 변수에 값을 다시설정하는것
let x =10
x = 5
재선언을 하면 처음 설정한 값이 사라지기때문에 코드가 길어지면 오류발생 가능성 up
var = 재선언 재할당 둘다가능
let = 재선언만 가능
const = 재선언, 재할당 둘다 불가 변하지않는 상수로서 고정값이라 생각하는것이 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