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내장객체 number편
number객체는 숫자를 다룰 때 유용한 속성과 함수를 제공하는 레퍼함수이다.
레퍼함수(wrap-per)란? : 임시적으로 원시타입을 객체로 반환하는 기능을 가진 객체
원시타입이란?:데이터 타입편에 해당되는 문자열,숫자,boolen에해당되는 기본적인 데이터타입들
toString(): toString은 숫자를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해주는 기능이있다.
ex)
let x = 3.141592
let x_str = x.toString()
console.log(x_str)
console.log(typeof x_str)
toExponential() : 숫자를 지수로 바꿔주는 기능이있다. 지수에 대해 필자가 잘모르기에 부가적 설명은 없다
ex)
let x = 10.656
console.log(x.toExponential(2))
toFixed(): toFixed()는 소수점 몇번째까지보여줄지에 대해 결정할수있는 기능이있다. 이때 ()안에숫자를 이용해 몇번째까지보여줄수있고 보여지지않는값은 반올림한다.
ex)
let x = 3.1415
console.log(x.toFixed(2))
위코드와 같이 console.log에 toFixed를이용해 x에소수점두번째인 4까지 보여지는것을 확인 할 수 있고 보여지지않는 4이후1은 반올림하여 버려지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arseInt():parseInt()는 숫자에 정수값만을 반환한다. 예를들어 3.14에 parseInt()를적용하면 3을 출력한다 특이한것은 숫자가 문자열로 되어있어도 이를 숫자형 데이터로 반환한다는점이다.
ex)
let x="-3.14"
console.log(parseInt(3.14))
console.log(parseInt(-3.14))
console.log(parseInt("3.14"))
console.log(parseInt(x))
console.log(typeof parseInt(x))
parseFloat() : parseFloat()는 parseInt()와 같은 기능을가졌다 but 전에봤던 parseInt()는 정수만을 반환했지만 parseFloat()는 소수점또한 반환한다.
ex)
let x = "-3.14"
console.log(parseFloat(3.14))
console.log(parseFloat(-3.14))
console.log(parseFloat("3.14"))
console.log(parseFloat(x))
console.log(typeof parseFloat(x))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기타내장객체 1편 (0) | 2022.03.14 |
---|---|
JS 내장함수 array편 (0) | 2022.03.13 |
JavaScript 내장함수 문자열(string)편 (0) | 2022.03.13 |
JavaScript 함수 (0) | 2022.03.13 |
JavaScript 반복문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