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12)
front-end 국비과정 일차 19일차 학습일지:정규 표현식 --- 정규 표현식 --- 정규표현식이란? 문자열을 처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특정한 조건의 문자를 검색하거나 바꾸는 과정을 매우 간편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플레그(flag)란? 작성한 정규표현식에 기능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정규표현식의 사용방법은 2가지가있다 1 생성자 함수에 사용하는 방식 생성자 함수에 정규표현식을 담아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2 리터럴 방식 정규 표현식을 /로 감싸 사용하는 방식이다 ex) const test1 = new RegExp("^hello") //생성자 함수로 정규표현식을 작성한 예시 const test2 = new RegExp("^hello","gi") 여기서 RegExp는 전역객체로써 정규표현식을 생성하는 기능을한다. // 1번파라미터 = 표현식 2번..
JS 기타내장객체 2편 JSON객체 :JSON객체는 데이터정보를 교환할때 쓰는 형식이다 JSON객체의 특징 1.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 시 주로 사용된다 즉 서버를다루는개발자(백앤드개발자)와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을 다루는 개발자(프론트앤드개발자)가 필요한내용을 주고받을때 이JSON의 형식을 주로 사용한다. 2자바스크립트의 객체(Object)표기법과 매우 비슷하다 3JSON으로 저장된데이터를 JSON객체의 parse()라는 내장함수를 이용하면 JS의 객체형으로 컴파일(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JSON안에 데이터를 JS로 변환할 수있다는 이야기 4프로그래밍 언어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 방식이다 5대부분의 언어에서 JSON안에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widow 객체 ale..
JS 기타내장객체 1편 Set 객체 Set객체는 배열처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때 배열과 차이점은 배열은 중복된값이라도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set객체는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않아 중복된 데이터는 저장되지않는다는특징이있다. 즉 Set은 유일한 값 만을 저장한다 Set 객체에도 여러 내장함수가있는데 첫번째로 add()라는 내장함수인데 배열에서 쓰이는 push()처럼 set객체안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한다. ex) let mySet = new Set() mySet.add(1) mySet.add(2) mySet.add(3) mySet.add(1) console.log(mySet) let arr = [1,2,3,1] let arr2 = [] for(let i=0; i
JS 내장함수 array편 Array객체란 배열을 다루는 내장함수와 속성에 대한 내용이다. toString(): 배열안에요소를 문자로 반환하는기능이있다. ex) let arr = ["Banana","Orange","Apple","Mango"] console.log(arr.toString()) console.log(typeof arr.toString()) 위코드에서 arr이라는 변수안에 배열을 toString()을이용해 요소들을 문자로 만들었고 typeof 를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join(): join()은 ()안에 특정문자를 넣어 배열에 요소와 요소사이에 특정문자를 넣어주고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준다 ex) let arr = ["Banana","Orange","Apple","Mango"] console.log(arr.join(..
JavaScript 내장함수number편 JS 내장객체 number편 number객체는 숫자를 다룰 때 유용한 속성과 함수를 제공하는 레퍼함수이다. 레퍼함수(wrap-per)란? : 임시적으로 원시타입을 객체로 반환하는 기능을 가진 객체 원시타입이란?:데이터 타입편에 해당되는 문자열,숫자,boolen에해당되는 기본적인 데이터타입들 toString(): toString은 숫자를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해주는 기능이있다. ex) let x = 3.141592 let x_str = x.toString() console.log(x_str) console.log(typeof x_str) toExponential() : 숫자를 지수로 바꿔주는 기능이있다. 지수에 대해 필자가 잘모르기에 부가적 설명은 없다 ex) let x = 10.656 console.log..
JavaScript 내장함수 문자열(string)편 내장객체란?:JavaScript엔진에 내장된 객체를 말한다. Object객체, Number객체,Date객체,Array객체,Math객체 등등 다양한 객체가 존재하는데 이 내장객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기때문에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한다. String 객체 : 문자열을 다루는 JS내장함수이다. length: 문자열에 길이를 알려주는 기능을한다. 이때 띄어쓰기도 길이에 포함된다. ex) let avengers ="iron man" console.log(avengers.length) indexOf() : 어떤 변수안에 내가 원하는 문자가 있는지 조회할수있고 있다면 몇번째에 있는지 알려주는 기능을한다. 만약 조회한 문자가 없다면 -1을 출력한다. 조회한 단어가 있다면 그단어에 첫번째 인덱스 번호를 출..
JavaScript 함수 함수 함수란? 특정 작업을 여러번 반복해야할때 재사용가능한 구조를 만드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을 함수라한다 JavaScript 프로그램을 구현할때 기능별로 함수를 작성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역할을한다 기본형태 함수선언키워드 함수이름 파라미터{ 실행할내용 } ex) ex1) function calc(a,b) { let sum = a+b return sum } console.log(calc(10,5)) 위코드에서 function은 함수선언키워드로써 나 이제 함수쓸꺼야라고 프로그램한태 알려주는키워드이다 calc는 함수를 쓸껀데 이친구 이름은 calc라고해 라고 할수있다. ()안에 a,b는 파라미터로 함수블록안에서 값을 설정할때 쓰이는 입력값이라고할 수있다. return은 함수블록안에서 설정된 내용중 무엇을 ..
JavaScript 반복문 반복문: 반복문은 조건을 만족하는동안 코드블록 안에있는내용을 반복하는데 대표적으로 for문과 while문이있다. for문의 기본형태 for(초기화값 ; 조건 ; 증감식;){ 조건이 참일때 실행할 내용 } ex) let brands = ["애플","구글","페이스북","아마존", "삼성전자"] for(let i=0;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