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ont-end 국비과정 학습일지

front-end 국비과정 1일차 학습일지 git & github

git & github

gitbash에서
 $ = 사용자에게 명령을 받을 준비가 되어있다는 의미  
 ~ = 최상위 폴더에 위치해있다는것을 의미
ls =  현제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나 폴더를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
cd = 현제 디렉토리를 변경시키는 기능이 있다.
cd..= 현제 디렉터리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올라간다.
mkdir =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기능이 있다.
ex)
mkdir 디렉토리이름

 

 - =   해당 속성에 옵션을 부여한다

ls -l = 상세정보를 표현한다.
ls -a =숨김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나열합니다.
ls -al= ls -a 명령어와 ls -l 명령어를 동시에 사용한 효과이다

pwd : 최상위 디렉터리에서 부터 현제디렉토리까지의 경로를 전부 출력한다. 

touch: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을 만든다.
ex) touch 파일 이름.확장자이름

mv : 파일을 이동시킨다
사용법 mv 파일 이름 하위디렉토리이름  (디렉토리이름에  ../을붙이면 상위디렉토리로 이동한다.)
ex) mv index.html practice

cp : 파일을 복사한다.
사용법: cp 파일이름  파일이 들어갈 디렉터리 이름
cp index.html practice

rm :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삭제한다. rm으로 디렉터리를 삭제할 수 없다(단 빈 디렉터리는 지울 수 있다.)

사용법 rm 파일 이름
ex) rm style.css

vi : git에서 해당 파일에 메모장 같은 역할을 한다. 
insert모드 : normal모드에서 i를입력하면 insert모드로써 내용을 작성 할 수있고 esc를 누르면 normal모드가 된다
nomal모드 : insert모드 또는 command모드로 가는 중간 단계이다
command모드:  nomal모드에서 :를 입력하면 command모드로써  insert모드로 작성한 내용을 저장한다 esc를 누르면 nomal모드가 된다.

command모드 사용법
w엔터 치면 메모를 저장하고
q! 롤 하고 엔터 치면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 

사용법 : vi 파일 이름 
ex) vi style.css

blob이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파일명과 같은 메타데이터는 함께 저장되지 않는다)

tree란?
현제 git으로 작업 중인 폴더를 git에 저장한다.

commit이란?
의미 있는 변경 작업들을 저장소에 기록하는 동작이다.

git과 github의 차이
git = 버전 관리 툴이고 github = 웹서비스(저장소)이다

git config :git을 사용할 때 환경설정을 해준다
ex)
git config --global user.name "kim"  --> git에서 사용자 이름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abcd@gmail.com --> git에서 사용자 email을 설정
git config --global --unset user.name  --> --unset은 설정한 값을 내리기 때문에 user.name의 설정값이 지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