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github에 저장소를 netlify라는 서비스를 이용해 배포할 수 있다는 점을 배웠다
2 project에 수정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도 git add , commit, push로 원격 저장소에 업데이트한다면
netlify로 배포된 사이트도 수정내용을 반영해 자동 업데이트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3 github 저장소에 main branch가 아닌 다른 branch에서 작업했을 때 main branch로 merge하지 않는다면
netlify로 배포된 사이트에 수정사항이 적용되지않는다
스타벅스 main-page-project를 netlify로 배포하여 만든 사이트 url
https://relaxed-lollipop-97cdb1.netlify.app/
main-page-project github 저장소 url
https://github.com/Jung-Hwan-Kim-97/Startbucks-mainPage-Project
git을 이용해 github에 올라간 폴더에 파일을 수정하여 코드에디터에 작업 영역에서 file에 옆면에
M이라는 단어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Modified의 약어로써 수정되었다는 의미이다
파일이 수정되었다면 github에 원격 저장소는 수정사항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 파일을 다시 add commit push 해야 한다 이때 commit message로 수정했다고 message를 작성하여
타인이 확인했을 때 수정된 파일인 것을 알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commit message prefix를 사용하면 쉽고 효율적인 commit message를 작성할 수 있다.
'front-end 국비과정 학습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end 국비과정 일차 14~15일차 학습일지 html css로 내가 원하는 Page 만들어 보기 최종 (0) | 2022.04.15 |
---|---|
front-end 국비과정 일차 13일차 학습일지 html css로 내가 원하는 Page 만들어 보기(1) (0) | 2022.04.14 |
front-end 국비과정 일차 11일차 학습일지 Starbucks Project(1) (0) | 2022.04.11 |
front-end 국비과정 일차 10일차 학습일지 JS 선행학습 내용 정리 (0) | 2022.04.09 |
front-end 국비과정 일차 9일차 학습일지 CSS에서 사용되는 핵심속성2 (0) | 2022.04.08 |